Politics
부산·경남 노후주택 86만호 초과, 도시 안전 비상
부산·경남 지역 30년 이상 노후주택이 86만호를 넘어서며 도시 안전에 비상이 걸렸다. 전국 평균을 웃도는 노후율과 안전사고 증가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Publié le
#노후주택#도시안전#부산#경남#주거정책#안전관리#도시개발#지역발전

부산·경남 지역의 노후주택 전경과 안전점검 현장
부산과 경남 지역의 30년 이상 노후주택이 86만호를 넘어서며 도시 안전에 적신호가 켜졌다. 이는 서울 다음으로 많은 규모로, 전국 평균을 크게 웃도는 수준이다.
심각한 노후주택 현황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김승수 의원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부산(32.1%)과 경남(32.3%)의 노후주택 비율이 전국 평균(28.0%)을 4% 이상 상회하고 있다. 이는 서울의 도시 안전 문제와 맞물려 심각한 우려를 낳고 있다.
주요 통계
- 전국 전체 주택 1987만호 중 30년 이상 노후주택: 557만호
- 부산·경남 노후주택: 86만 6762호(15.6%)
- 부산: 43만 2913호
- 경남: 43만 3849호
안전사고 위험 증가
최근 기후변화로 인한 지역 인프라 안전이 위협받고 있는 가운데, 노후주택 문제는 더욱 심각성을 더하고 있다. 행정안전부 자료에 따르면, 2023년 한 해 동안 발생한 주거용 건물 사고만 581건에 달한다.
전문가 의견
"노후주택은 주민의 생명과 직결된 문제로, 안전점검 강화와 공공보조 확대가 시급합니다." - 한국도시안전연구소 관계자
대책 마련 시급
정부의 안전 관리 정책이 강화되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노후주택 문제를 단순한 건축관리가 아닌 '생활안전'의 관점에서 접근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향후 과제
- 안전점검 체계 강화
- 공공보조 확대
- 정비사업 지원체계 정비
- 관련 법령 개정 검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