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litics
부산·경남 노후주택 86만호 돌파, 도시 안전 위기 심각
부산·경남 지역의 30년 이상 노후주택이 86만호를 넘어서며 도시 안전에 비상이 걸렸다. 전국 평균을 웃도는 노후율과 잦은 안전사고로 대책 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다.
Publié le
#노후주택#도시안전#부산#경남#안전관리#주거정책#도시개발#지역발전

부산·경남 지역의 노후주택 전경과 안전점검 현장
부산·경남 지역 노후주택 급증, 도시 안전 비상
부산과 경남 지역의 30년 이상 노후주택이 86만호를 넘어서며 도시 안전에 적신호가 켜졌습니다. 지난해 기준 부산의 노후주택 비율은 32.1%, 경남은 32.3%로, 전국 평균(28.0%)을 크게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노후주택 안전관리 실태
전국 전체 주택 1987만호 중 30년 이상 된 노후주택은 557만호이며, 이 중 부산과 경남이 86만 6762호(15.6%)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도시 기반시설의 안전 문제가 심각한 상황입니다.
안전사고 위험 증가
행정안전부 자료에 따르면, 2023년 한 해 동안 건축물·외벽 등 붕괴사고는 2,829건에 달했으며, 주거용 건물 사고만 581건을 기록했습니다. 이는 하루 평균 1.6건의 사고가 발생한 셈입니다.
한국도시안전연구소 관계자는 "노후주택은 주민의 생명과 직결된 문제"라며 "안전점검 강화, 공공보조 확대, 정비사업 지원체계 정비가 시급하다"고 강조했습니다.
대책 마련 시급
도시 안전 관리체계 강화와 함께 노후주택 정비를 위한 구체적인 대책 마련이 시급합니다. 전문가들은 주거 안전을 도시 경쟁력의 핵심 지표로 보고, 생명안전 인프라 구축 차원에서 접근해야 한다고 지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