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usiness
WSJ, 한·미 조선업 협력의 현실적 과제와 도전 분석
WSJ가 한·미 조선업 협력의 현실적 과제를 분석했다. 미국의 높은 건조비용과 기술력 부족이 주요 걸림돌로 지적되며, 한화그룹의 전략적 접근이 주목받고 있다.
Publié le
#조선업#한미협력#한화그룹#WSJ#LNG운반선#해운산업#기술이전#경제협력

경남 거제시 한화오션 사업장에서 건조 중인 대형 선박
월스트리트저널(WSJ)이 12일(현지시간) 한국과 미국 간 조선업 협력의 현실적 과제와 도전 과제를 심층 분석했다. 특히 미국 조선업의 기술력 부족과 높은 건조 비용이 주요 장애물로 지적됐다.
미국 조선업의 현주소와 도전과제
현재 미국에서 선박을 건조하는 비용은 한국의 주요 조선소나 중국 대비 4~5배 높은 수준이다. 한화그룹이 발주한 대형 LNG 운반선 2척이 한국에서 건조될 예정인 것도 이러한 현실을 반영한다.
기술력과 인프라의 격차
카라차스 마린 어드바이저스의 바실 카라차스 CEO는 "순수 자본 투입만으로는 미국 조선업 부흥이 어렵다"며, "강력한 철강 산업, 고도로 훈련된 인력, 첨단 엔지니어링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한화그룹의 전략적 접근
한화그룹은 글로벌 해운 산업의 새로운 변화에 대응하며 단계적 접근을 추진 중이다. 필라델피아 조선소에서는 미국 내 화물 수송용 중형 유조선 10척을 건조할 예정이다.
비용과 시장성의 도전
- 필라델피아 건조 유조선 비용: 약 2억2000만 달러
- 한국/중국 건조 비용: 약 4700만 달러
- 가격 차이: 약 4.7배
미래 전망과 발전 방향
한화쉬핑의 라이언 린치 CEO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한국의 기술과 노하우가 미국으로 이전될 것"이라며 긍정적 전망을 제시했다. 또한 글로벌 해운 산업의 안전성 강화를 위해 미국 선원 훈련 프로그램도 계획 중이다.